1. WebContent > META-INF > context.xml 파일에 DB Connetion 정보 추가, 접속 DB 종류에 따라 컨넥션 정보는 다를 수 있음.

<Resource removeAbandonedOnBorrow="true" removeAbandonedTimeout="10" logAbandoned="true"
name="jdbc/mysql"
auth="Container"
type="javax.sql.DataSource"
url="jdbc:mysql://127.0.0.1:4040/데이터베이스명"
driverClassName="com.mysql.jdbc.Driver"
username="데이터베이스사용자명"
password="비밀번호"
loginTimeout="10"
maxActive="100"
maxIdle="30"
maxWait="10000"
testOnBorrow="true" />


2. 클래스 생성, DB Connection을 위한 클래스

import java.sql.Connection;
import java.sql.SQLException;

import javax.sql.DataSource;
import javax.naming.Context;
import javax.naming.InitialContext;
import javax.naming.NamingException;

public class DBConnection {

    public static Connection getConnection() throws ClassNotFoundException, SQLException, NamingException {
        Context context = new InitialContext();
        DataSource ds = (DataSource) context.lookup("java:comp/env/jdbc/mysql");
        Connection dbConn = ds.getConnection();
       
        return dbConn;
    }
}


3. 클래스 사용, DB Connection Class 를 이용한 실제 쿼리문 작성

Connection conn = DBConnection.getConnection();

PreparedStatement pstm = null;
ResultSet rs = null;

StringBuffer query = new StringBuffer();

query.append("쿼리문");

pstm = conn.prepareStatement(query.toString());
rs = pstm.executeQuery();



'WEB > JSP' 카테고리의 다른 글

JSP 를 이용한 법화사 홈페이지 구축  (0) 2019.03.27
request.getRemoteAddr() - ipv6  (0) 2017.08.29
log4j 옵션  (0) 2014.03.18

1) 10.1.13-MariaDB + JSP [ Model1 방식 ] 와 Bootstrap 을 이용한 법화사 홈페이지 구축


http://www.bubhwasa.kr


2) 웹뷰를 이용한 안드로이드 앱 배포


구글Play 에서 "법화사" 검색


3) 구현된 내용 요약

A) 메인화면 - 상단 이미지 설정 가능 [관리자] - 게시판 : 설정 가능 [관리자] - 법화사 앨범 : 설정 가능 [관리자] - 영상 : 1개 [관리자] B) 법화사 소개 - 주지스님 인사말 : 설정 가능 [관리자]

- 찾아 오시는 길 : 법화사 전경 : 설정 가능 [관리자] - 불교의 용어 : 설정 가능 [관리자] C) 사진 및 영상 - 추억의 사진 [관리자] : 앨범 추가 기능 : 한번에 사진 1장 올리기

: 한번에 100MB 이내로 여러장 올리기

: 대표사진 바꾸기

: 사진 삭제

- 법화사 영상 [관리자] : 영상 올리기 : 영상링크 올리기


D) 불교이야기 및 자료 / 이야기방 [게시판]

: 관리자 설정에 따라 댓글 작성 기능 및 일반회원 작성권한 부여


E) 마이페이지

: 로그아웃, 비밀번호 변경 및 회원탈퇴


F) 관리자 기능

: 회원관리 - 회원승인 및 블럭처리, 비밀번호 초기화, 관리자 권한부여

: 인사말관리 - 인사말 수정/삭제/노출 On-Off / 이미지 위치변경 및 삭제

: 메시지관리 - 앱으로 알림메시지 발송 및 기존 메시지 확인 및 삭제

: 게시판관리

- 게시판 추가/설정 수정/삭제

- 상단의 이미지 / 게시판 이름 / 게시판 구분 (불교이야기 및 자료 / 이야기방) / 게시판 출력하는 갯수 / 메뉴에 보여지는 순서

노출 On-Off / 메인화면 On-Off / 댓글기능 On-Off / 일반회원 작성 On-Off

: 사진앨범관리

- 앨범 추가 / 수정 / 삭제 / 사진순서 변경

- 순서 / 앨범명칭 / 보이기 여부 On-Off / 메인상단 노출 On-Off / 전경사진 노출 On-Off - 메인상단 노출, 전경사진 노출에 체크가 되는 앨범의 경우에는 회원에게는 보여지지 않음 - 사진 목록 > 사진의 순서 및 대표사진, 각 사진의 제목/내용을 수정함.



4) 도메인 등록 및 웹호스팅 : cafe24.com

'WEB > JSP' 카테고리의 다른 글

JSP DBConnection  (0) 2019.03.28
request.getRemoteAddr() - ipv6  (0) 2017.08.29
log4j 옵션  (0) 2014.03.18

C:\windows\system32\inetsrv 폴더로 이동

 

아래 실행

appcmd list site /xml

'WEB > ASP' 카테고리의 다른 글

IIS7.5 가상디렉토리 설정  (0) 2014.11.25

TOMCAT 접속하는 클라이언트의 IP가 ipv6 방식인 0:0:0:0:0:0:0:1 으로 나올때 해결 방법


1. eclipse 에서 Tomcat 을 실행하는 경우

 Run > Run COnfigurations > Arguments > VM arguments : 아래 내용 입력

 

2. Tomcat 을 직접 실행하는 경우

설치경로 /bin/catalina.bat > set JAVA_OPTS : 검색하여 2군데가 나오면, 아래 내용 입력



아래 내용

-Djava.net.preferIPv4Stack=true

'WEB > JSP' 카테고리의 다른 글

JSP DBConnection  (0) 2019.03.28
JSP 를 이용한 법화사 홈페이지 구축  (0) 2019.03.27
log4j 옵션  (0) 2014.03.18

네트워크 드라이브로 가상디렉토리를 설정하는 경우, 권한 문제로 해당 디렉토리의 파일 접근이 안되는 이슈 발생.

아래와 같은 것들을 확인해 볼 것.

 

1. 인증 > 익명인증 > 사용자지정 > 특정 계정 설정

2. 가상디렉토리 관리 > 고급설정 > 실제경로 설정 / 실제경로 자격 증명 설정 ( 특정 계정 설정 )

 

특정 계정은 2개의 서버에 동일한 계정을 생성할 것. (비밀번호의 경우 동일하게 설정하였으나, 다르게 설정하는 경우는 테스트가 필요함.)

  >> IIS 설치된 서버와 네트워크 드라이브로 설정되는 서버

 

아래는 Sample 소스

 

결과는

True

TRUE

True

전체 경로\이미지 파일명

이미지 상대경로/이미지 파일명

이미지 표시

 

<%

dim filePath : filePath = "/가상디렉토리 경로/이미지파일.jpg"

Dim fso : Set fso = server.createObject("Scripting.FileSystemObject")

response.write fso.FolderExists( "\\가상디렉토리IP\경로" ) & "<br/>"

If fso.fileExists( Server.MapPath( filePath ) ) Then
     response.write "TRUE<br/>"
else
     response.write "FALSE<br/>"
end if


response.write fso.FileExists( Server.MapPath(filePath) ) & "<br/>"

response.write Server.MapPath( filePath )
response.write "<br/>" & filePath
response.write "<br/><img src='" & filePath & "'>"

Set fso = Nothing

%>

'WEB > ASP' 카테고리의 다른 글

IIS 사이트 목록 조회  (0) 2018.07.17

log4j 를 통해 출력할 때 형태



<appender name="console" class="org.apache.log4j.ConsoleAppender">

    <param name="Target" value="System.out" />

    <layout class="org.apache.log4j.PatternLayout">

        <param name="ConversionPattern" value="%-5p: %c - %m%n" />

    </layout>

</appender>



 %p  debug, info, warn, error, fatal 등의 priority 가 출력된다.  

 %m  로그내용이 출력됩니다 

 %d  로깅 이벤트가 발생한 시간을 기록합니다.

     포맷은 %d{HH:mm:ss, SSS}, %d{yyyy MMM dd HH:mm:ss, SSS}같은 형태로 사용하며 

     SimpleDateFormat에 따른 포맷팅을 하면 된다 

 %t  로그이벤트가 발생된 쓰레드의 이름을 출력합니다.  

 %%  % 표시를 출력하기 위해 사용한다.  

 %n  플랫폼 종속적인 개행문자가 출력된다. \r\n 또는 \n 일것이다.  

 %c  카테고리를 표시합니다 

     예) 카테고리가 a.b.c 처럼 되어있다면 %c{2}는 b.c가 출력됩니다. 

 %C  클래스명을 포시합니다. 

     예)클래스구조가 org.apache.xyz.SomeClass 처럼 되어있다면 

     %C{2}는 xyz.SomeClass 가 출력됩니다 

 %F  로깅이 발생한 프로그램 파일명을 나타냅니다. 

 %l  로깅이 발생한 caller의 정보를 나타냅니다 

 %L  로깅이 발생한 caller의 라인수를 나타냅니다 

 %M  로깅이 발생한 method 이름을 나타냅니다. 

 %r  어플리케이션 시작 이후 부터 로깅이 발생한 시점의 시간(milliseconds) 

 %x  로깅이 발생한 thread와 관련된 NDC(nested diagnostic context)를 출력합니다. 

 %X  로깅이 발생한 thread와 관련된 MDC(mapped diagnostic context)를 출력합니다.

'WEB > JSP' 카테고리의 다른 글

JSP DBConnection  (0) 2019.03.28
JSP 를 이용한 법화사 홈페이지 구축  (0) 2019.03.27
request.getRemoteAddr() - ipv6  (0) 2017.08.29

- 프로젝트 생성에 대한 비교 (웹 응용 프로그램 VS 웹 사이트)

1. 웹 응용 프로그램 프로젝트
  1) 디버깅 세션을 중지하지 않고 코드를 편집할 수 있도록 하려는 경우
  2)
ASP.NET 페이지와 연결된 클래스 파일에 있는 코드에 대한 단위 테스트를 실행하려는 경우
  3)
독립 실행형 클래스의 사용자 정의 컨트롤 및 페이지와 연결된 클래스를 참조하려는 경우
  4)
여러 웹 프로젝트 간에 프로젝트 종속성을 설정하려는 경우.
  5)
컴파일러에서 전체 사이트에 대해 단일 어셈블리를 만들고자 하는 경우.
  6)
사이트에 대해 생성되는 어셈블리 이름과 버전 번호를 제어하려는 경우.
  7) 프로덕션 서버에 소스 코드를 저장하지 않으려는 경우
  8) Visual Studio 2010에서 사용할 수 있는 자동 배포 도구를 사용하려는 경우
  9)
MSBuild 또는 팀 빌드를 사용하여 프로젝트를 컴파일하려는 경우. 예를 들어 빌드 전 단계와
     빌드 후 단계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2. 웹 사이트 프로젝트

  1) C# 및 Visual Basic 코드를 단일 웹 프로젝트에 포함하려는 경우. 기본적으로 웹 응용 프로그램은
     프로젝트 파일의 언어 설정에 따라 컴파일됩니다. 예외를 만들 수 있지만 예외를 만들기는 비교적
     어렵습니다. 
  2) Visual Studio에서 프로덕션 사이트를 열고 FTP를 사용하여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하려는 경우
  3) 프로젝트를 배포하기 위해 프로젝트를 명시적으로 컴파일할 필요가 없도록 하려는 경우
  4) 사이트를 미리 컴파일할 때 컴파일러에서 페이지 또는 사용자 정의 컨트롤당 하나의 어셈블리를
     포함하거나 폴더당 하나 이상의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는 사이트에 대해 여러 어셈블리를
     만들도록 하려는 경우
  5) 프로덕션 환경에서 프로덕션 서버에 새 버전을 복사하거나 프로덕션 서버에서 직접 파일을
     편집하여 개별 파일을 업데이트할 수 있게 하려는 경우.
  6) 사이트를 미리 컴파일할 때 전체 웹 사이트를 다시 컴파일할 필요 없이 개별 ASP.NET 웹 페이지
      (.aspx 파일)를 업데이트할 수 있도록 하려는 경우
  7) 추가 백업 복사본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프로덕션 서버에 소스 코드를 저장하려는 경우

출처 : http://msdn.microsoft.com/ko-kr/library/dd547590.aspx

'WEB > ASP.NE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증처리 방식  (0) 2010.04.25
데이터베이스 연동  (0) 2010.04.14
디버깅  (0) 2010.04.08
테마  (0) 2010.04.04
마스터 페이지  (0) 2010.03.22
ASP.NET은 MS IIS (인터넷 정보 서비스)와 함께 다음 인증 방법을 사용하여 이름과 암호 같은 사용자 자격 증명을 인증
  • Windows: 기본, 다이제스트 또는 Windows 통합 인증(NTLM 또는 Kerberos)
  • 응용 프로그램에서 로그인 페이지를 만들고 인증을 관리하는 폼 인증
  • 클라이언트 인증서 인증

- WIndows 인증 공급자
Windows 인증에서는 MS IIS에 의해 제공된 사용자 ID를 ASP.NET 응용 프로그램의 인증된 사용자로 간주. IIS에서는 익명 인증,
Windows 통합(NTLM) 인증, Windows 통합(Kerberos) 인증, 기본(base64 인코딩) 인증, 다이제스트 인증, 클라이언트 인증서에 기반한 인증과
같이 사용자 ID를 확인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메커니즘을 제공.

- 폼 인증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 구성
응용 프로그램 루트에 Web.config 파일에 아래의 내용을 추가한다.
<?xml version="1.0"?>
<configuration xmlns="http://schemas.microsoft.com/.NetConfiguration/v2.0">
 <system.web>
   <authentication mode="Forms">
     <forms loginUrl="logon.aspx" name=".ASPXFORMSAUTH">
     </forms>
   </authentication>
   <authorization>
     <deny users="?" />
   </authorization>
 </system.web>
</configuration>

ASP.NET 응용 프로그램에 대한 ASP.NET 인증 체계를 구성. 인증 체계는 ASP.NET 응용 프로그램을 보려는 사용자를 식별하는 방법을 결정.
mode 특성은 인증 체계를 지정.

<authentication mode="[Windows|Forms|Passport|None]"
>
<forms>...</forms>
<passport/>
</authentication>

  • Windows(Default) : Widows 인증을 기본 인증 모드로 지정. 모든 형태의 IIS 인증을 사용할 떄 사용, 응용 프로그램에서 내부 IIS에 인증 책임을 위임.
  • FOrms : ASP.NET 폼 기반 인증을 기본 인증 모드로 지정.
  • Passport : Microsoft Passport 네트워크 인증을 기본 인증 모드로 지정.
  • None : 인증을 사용하지 않도록 지정. 익명 사용자만 액세스 할 수 있거나 응용 프로그램에서 자체 인증을 제공.

자식 요소
forms : 사용자 지정 폼 기반 인증을 위해 ASP.NET 응용 프로그램을 구성.
passport : 페이지에 인증이 필요하고 사용자가 Microsoft Passport 네트워크 인증으로 로그온하지 않은 경우 해당 페이지를 리디렉션하도록 지정.

'WEB > ASP.NET' 카테고리의 다른 글

ASP.NET 로 구현하기  (0) 2011.07.18
데이터베이스 연동  (0) 2010.04.14
디버깅  (0) 2010.04.08
테마  (0) 2010.04.04
마스터 페이지  (0) 2010.03.22
웹 응용 프로그램은 주로 동적 데이터를 저장 및 검색하기 위해 데이터 소스에 액세스합니다.
System.Data 네임스페이스(ADO.NET) 및 System.Xml 네임스페이스에서 클래스를 사용하여 데이터에 액세스하는 코드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ASP.NET을 사용하여 선언적으로 데이터 바인딩을 수행할 수도 있다.
다음을 포함하여 가장 일반적인 데이터 시나리오의 경우 이를 수행할 때 코드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 데이터 선택 및 표시
● 데이터 정렬, 페이징 및 캐싱
● 데이터 업데이트, 삽입 및 삭제
● 런타임 매개 변수를 사용하여 데이터 필터링
● 매개 변수를 사용하여 마스터-세부 시나리오 만들기

ASP.NET에는 데이터 소스 컨트롤데이터 바인딩된 컨트롤이라는 두 가지 형식의 서버 컨트롤이 포함, 이 두 컨트롤은 선언적
데이터 바인딩 모델에 참여한다.

- 데이터 소스 컨트롤
데이터 소스에 연결 및 데이터 읽기/쓰기 등의 작업을 관리하는 ASP.NET 컨트롤입니다. 데이터 소스 컨트롤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랜더링하지
않지만 대신 특정 데이터 저장소(예: 데이터베이스, 비지니스 개체 또는 XML 파일)와 ASP.NET 웹 페이지의 다른 컨트롤 간에 매개자 역할을
한다. 데이터 소스 컨트롤을 사용하면 쿼리, 정렬, 페이징, 필터링, 업데이트, 삭제, 삽입 등을 포함하여 데이터를 검색하고 수정하는 데 필요한
다양한 기능을 활용할 수 있다. ASP.NET에는 다음과 같은 데이터 소스 컨트롤이 포함된다.

AccessDataSource, LinqDataSource, ObjectDataSource, SiteMapDataSource, SqlDataSource, XmlDataSource


- 데이터 바인딩된 컨트롤
데이터를 요청 브라우저에 태그로 랜더링한다. 데이터 바인딩된 컨트롤은 데이터 소스 컨트롤에 바인딩한 다음 페이지 요청 수명 주기의
적절한 시점에 자동으로 데이터를 패치할 수 있으며 정렬, 페이징, 캐싱, 필터링, 업데이트, 삭제, 삽입 등을 포함하여 데이터 소스 컨트롤에서
제공하는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DataSourceID 속성을 통해 데이터 소스 컨트롤과 연결한다.

목록 컨트롤(BulletedList, CheckBoxList, DropDownList, ListBox, RadioButtonList), AdRotator, DataList, DetailsView, FormView, GridView, ListView, Menu, Repeater, TreeView

- LINQ (통합 언어 쿼리)
여러 유형의 데이터 소스에서 데이터를 쿼리하고 업데이트하기 위한 통합 프로그래밍 모델을 제공하고, 데이터 기능을 직접 C# 및 VB 언어로
확장한다. LINQ에서는 관계형 데이터에 개체 지향 프로그래밍의 원칙을 적용한다. LINQ는 LinqDataSouce 컨트롤을 사용한다.

- Dynamic Data
데이터 기반 ASP.NET 웹 응용 프로그램을 빠르게 만들 수 있게 하는 프레임워크이다. 런타임에 자동으로 데이터 모델을 검색하고 해당
데이터 모델에서 UI 동작을 결정한다. 스캐폴딩 프레임워크는 데이터를 표시하고 편집할 수 있는 기능적인 웹 사이트를 제공한다.
따라서 메타데이터 또는 템플릿을 사용하거나 표준 ASP.NET 페이지를 만들어 기본 동작을 재정의하여 이 스캐폴딩을 사용자 지정할 수 있다.
기존 ASP.NET 웹 응용 프로그램에서는 스캐폴딩 논리의 일부를 해당 웹 페이지에 쉽게 통합할 수 있다.



- 출처 및 참고자료 :
MSDN > ASP.NET 데이터 액세스 개요
MSDN > System.Data 네임스페이스
MSDN > 데이터 소스 컨트롤 개요

'WEB > ASP.NET' 카테고리의 다른 글

ASP.NET 로 구현하기  (0) 2011.07.18
인증처리 방식  (0) 2010.04.25
디버깅  (0) 2010.04.08
테마  (0) 2010.04.04
마스터 페이지  (0) 2010.03.22
ASP.NET 웹 응용 프로그램에 대해 디버깅을 설정하려면 디버그 빌드로 컴파일하도록 응용 프로그램을 구성해야 한다.
디버그 빌드에는 디버거에서 코드를 단계별로 실행하고 변수의 내용을 표시할 수 있도록 디버거에 필요한 정보가 포함된다.
Web.config 파일의 Compilation 섹션에서 디버그 빌드에 대해 웹 응용 프로그램을 구성한다. 또는 단일 페이지만 디버깅하려면
디버깅할 페이지에서 @ Page 지시문에 debug=true 를 추가하면 된다.

※ 디버그 빌드로 컴파일된 응용 프로그램은 정식 버전 빌드에 비해 실행 속도가 훨씬 느리고, 오류가 발생할 경우 스택에서
    많은 정보가 노출되어 보안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배포하기 전에는 디버그 모드를 해제해야 한다.

- 로컬 및 원격 디버깅
IIS와 같은 웹 서버를 로컬에서 실행하는 경우 사용자 컴퓨터에서 로컬로 실행되는 응용 프로그램을 디버깅할 수 있다.
웹 서버를 실행할 수 없거나 응용 프로그램을 로컬에서 사용할 수 없어서 페이지를 로컬에서 실행할 수 없는 경우에는 다른 서버에서 실행되는
응용 프로그램을 디버깅할 수 있다. 원격 디버깅을 하려면 원격 서버에 VS 원격 디버깅 구성 요소를 설치해야 한다.


- 출처 및 참고자료 :
MSDN > ASP.NET 디버깅 개요
MSDN > 방법: ASP.NET 응용 프로그램에 디버깅 사용
MSDN > 방법: 원격 디버깅 설정
MSDN > 방법: 원격 디버깅 모니터 실행
MSDN > 방법: 실행 중인 프로세스에 연결
MSDN > 방법: ASP.NET 프로세스의 이름 찾기



'WEB > ASP.NE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증처리 방식  (0) 2010.04.25
데이터베이스 연동  (0) 2010.04.14
테마  (0) 2010.04.04
마스터 페이지  (0) 2010.03.22
ASP.NET 컨트롤 -3-  (0) 2010.03.12

+ Recent posts